관광업이야기(항공+여행)(135)
-
′보잉′ 창사 최대 위기, 워싱턴주 공장 멈췄다 (정부에 600억달러 긴급 경영자금을 요청)
2000년대 중반부터 항공권의 전자화가 이루어지며 여행의 편리성이 더해졌다. 여기에 저가항공사의 저렴한 항공료 공급에 따라 세계 여행시장은 매년 폭발적인 성장을 하게 된다. 각국마다 저가항공사들이 많이 생겨나고 경쟁이 치열해지며, 여행수요는 또 한번 급증한다. 항공사가 많이 생겨남에 따라, 항공기를 만드는 항공기 제작회사도 덩달아 호황을 누리게 된다. 항공기 제작 회사는 전세계적으로 독점시장이나 다름없다. 최근 중국에서도 항공기를 제작하고 있지만(COMAC), 자국시장위주의 공급이 많으므로 제쳐두면 결국, 미국의 보잉사 / 유럽의 에어버스사 두 회사가 전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최근까지 보잉의 실적이 좋았다가 에어버스가 많이 격차를 좁힌 상황이다. 2017년 보잉은 763대, 에어버스는 718대의 ..
2020.03.25 -
“안심하고 예약하세요” 잇단 취소 · 환불에 국내 항공사들, 변경·환불 수수료 면제 항공권 판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교역 및 교류 중단으로 인해 여객 수요가 급감하고, 운항 취소와 환불이 계속되면서 항공사들이 항공권 변경 수수료와 취소 위약금 면제 등에 나서고 있다. 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다음 달 30일까지 구매하는 국제선 전 노선의 항공권에 대해 예약 변경 수수료를 면제해주고 있다. 항공권 유효기간 내에 일정을 변경할 경우 1회에 한해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식이다. 1.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4월 30일까지 구매하는 국제선 전 노선의 항공권에 대해 예약 변경 수수료를 1회 면제키로 했다. 지난 18일 이후 출발하는 항공권이 대상으로, 항공권 유효기간 내에 일정을 변경할 경우 1회에 한해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식이다. 기존 대한항공의 예약변경 수수료는 클래스별/거리별로 상이했다. Fi..
2020.03.23 -
이스타항공 국내 첫 '셧다운' 국내선도 운항 중단.
이스타항공이 국제선에 이어 24일부터 한 달간 국내선 노선까지 모두 중단한다. 이 같은 결정은 "코로나19 피해 최소화하기 위해 결정" 이라고 한다. 앞서 에어서울이 이달 초부터 김포∼제주를 제외한 전 노선의 운항을 중단하긴 했지만 국적 항공사 중에 국제선과 국내선의 운항을 모두 접고 셧다운에 들어가는 것은 이스타항공이 처음이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여객 수요가 급감해 현재 상황에서는 비행기를 띄울수록 손해"라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 달간 셧다운하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스타항공은 직원의 2월 급여를 40%만 지급한 데 이어 3월과 4월 급여의 정상 지급도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현재 국적 항공사 중에서는 에어서울과 에어부산, 티웨..
2020.03.21 -
이란 전세기, 이탈리아 전세기, 페루 전세기,기타 전세기 (한국교민 귀국)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자가 세계 곳곳에서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앞선 중국 우한전세기와 일본크루즈선 승객 대통령전용기 수송에 이어, 우리 교민들을 수송하기 위한 전세기가 운항 및 계획되고 있다. 1. 이란 전세기 시작은 아시아나항공의 전세기였다. 3월18일(수) 00시 04분 OZ5973편으로 두바이 알막툼공항 (DWC)으로 출발한 전세편은 3월19일(목) 16시 26분 OZ5983편으로 인천공항(ICN)에 우리국민 74명과 이란 국적 가족 6명 총 80명을 태우고 무사 도착했다. 비행기 탑승 전 발열 등 의심증상을 보였던 것으로 확인된 교민 2명은 기내에서 격리된 상태로 이동하였으며, 인천공항에 도착한 직후엔 국립인천공항검역소로 이동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고 한다. 탑승자 전원은 입국절차를 마친 뒤..
2020.03.21 -
제주항공, 공정위에 이스타항공 기업결합심사 신청(산업은행·수출입은행 2천억 자금 지원), 신디케이트 론 뜻
지난 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지난 3월2일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과 주식 매매 계약(SPA)을 체결했다.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과연 시너지로 이어질까? 위기는 기회라고 했던가. 말도많았고 여러차례 미루어졌던,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소식이 드디어 발표되었다. 특히 국내에서 항공사 간 통합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제주항공은 2019년 12월 중순 처음으로.. bryan8.tistory.com 제주항공은 3월 13일 공정거래위원회에 이스타항공과의 기업결합심사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15일 밝혔다. 공정위는 기업 결합을 30일 이내에 심사하고 그 결과를 통지하게 돼 있다. 필요시 최대 90일을 연장해 120일까지 심사가 가능하다. 제주항공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모든 항공사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2020.03.17 -
HDC 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항공 인수 제동, 승자의 저주 될까?(승자의 저주 사례 및 에어부산 매각설)
아시아나항공에 2조5천억을 베팅한 HDC 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대금 마련을 위해 진행한 주주배정 유상증자 2천196만 9천110주, 금액으로는 3천207억 원의 납입을 완료했다고 3월 13일 공시했다.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움은 현대산업개발이 2조101억원, 미래에셋대우가 재무적 투자자로서 4899억원을 각각 부담한다. 해당 인수금은 아시아나항공의 구주 6868만 8063주를 사들이는데 3228억원, 나머지 2조1772억원은 유상증자에 사용될 계획이다. 인수 대상은 아시아나항공과 더불어 계열사인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금호리조트 등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지난 3월 5~6일 구주주 유상증자 청약에서 청약률 105.47%를 기록했고, 신주는 오는 3월26일 상장될 예정이다. 앞서 HDC현..
202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