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업이야기(항공+여행)(132)
-
국토교통부 2020년 운수권 정기배분 결과 (코로나, 6월까지 계속되면 항공사 5조원 피해)
국제항공운수권은 '국제항공운수권 및 영공통과 이용권 배분 등에 관한 규칙'에 의거해 항공교통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매년 2월경 정기 배분된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 2월 27일(목) 항공교통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지난 1년간 항공회담을 통해 확보한 한국-파리, 한국-호주 증대 운수권과, 기타 정부보유 운수권을 7개 국적 항공사에 배분(전체 21개 노선)했다. 한국-파리 노선은 아시아나항공에 주 2.25단위(수송 용량에 따른 분류)와 대한항공에 주 0.5단위로, 호주 노선은 티웨이항공에 주 1303석과 아시아나항공에 주 649석이 배분됐다. 특히, 티웨이항공은 그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서만 취항하던 중거리 노선인 호주 노선을 이번에 저비용항공사(LCC) 가운데에서는 최초로 배분받았다 (추후 A330 ..
2020.03.09 -
끊겨버린 일본 하늘길 [일본의 입국제한 강화에 따른 상응조치]
어제 코로나19 관련 우리 국민 대상 입국제한 조치 실시 국가(지역)에 대해 포스팅을 하며, 일본도 3월 9일부터 한국에서 출발하는 여행객에 대해 14일간 격리하는 사실상의 입국제한 조치를 내렸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대해 우리 정부도 빠르게 맞불을 놓았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30620337631652&outlink=1&ref=https%3A%2F%2Fsearch.daum.net '입국거부' 일본에 '맞불' 놓은 정부…4가지 상응조치는 - 머니투데이 뉴스 정부가 6일 일본의 한국발 입국제한 강화에 대응한 상응조치를 발표했다. 한국도 일본 정부가 입국제한 강화조치를 시작하는 9일 0시에 맞춰 이 상응조치를 실시한다. 조세영 ... news.mt.co..
2020.03.07 -
코로나19 관련 우리 국민 대상 입국제한 조치 실시 국가(지역) 여행주의보 (3월6일 10시 기준)
지난번 '코리아 포비아'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우리나라의 '여권파워'는 세계 3위로 굉장히 높은 순위이다. https://bryan8.tistory.com/122 '코리아 포비아' 확산 , 어디까지 이어질까 우리나라의 '여권파워'는 세계 3위로 독일과 같은 순위이다. '여권 파워'란 헨리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 여권 소지자가 무비자로 입국 가능한 국가 수에 따라 세계 여권 순위를 정한 독창적인 지수로 평.. bryan8.tistory.com 10일전 포스팅에서 조사했을 때, 약 20여개국에서 우리 국민에 대한 입국금지나 강화 절차를 강화 했었다. 그러나 오늘 다시 조사해보니, 오늘 아침 10시 기준 어느새 100개 국이 넘었다. UN 가입국 기준 193개국이니, 거의 세계의 절..
2020.03.06 -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과연 시너지로 이어질까?
위기는 기회라고 했던가. 말도많았고 여러차례 미루어졌던,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소식이 드디어 발표되었다. 특히 국내에서 항공사 간 통합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제주항공은 2019년 12월 중순 처음으로 이스타항공 인수계획 발표를 한뒤, 1. 2019년 12월말 계약 체결 => 1월말 1차 연기 2. 2020년 1월말 계약 체결=> 2월말 2차 연기 3. 2020년 2월말 계약 체결 => 3월 2일 최종 주식 매매 계약(SPA) 체결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18일 이스타홀딩스에 이행보증금으로 지급한 115억원을 제외한 차액 430억여원을 4월 29일 전액 납입하면 인수는 마무리 된다. 제주항공은 최종 인수금액을 최초 695억 보다 150억 줄어든 545억에 계약을 성사했으며, 이스타항공은 최근 2월..
2020.03.04 -
'코리아 포비아' 확산 , 어디까지 이어질까
우리나라의 '여권파워'는 세계 3위로 독일과 같은 순위이다. '여권 파워'란 헨리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 여권 소지자가 무비자로 입국 가능한 국가 수에 따라 세계 여권 순위를 정한 독창적인 지수로 평가된다. 세계 3년연속 1위는 191점의 일본이고, 작지만 강한나라 싱가포르가 190점으로 2위이다. 이어서 189점의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독일과 함께 공동3위에 올라 미국과 영국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총 인구대비 출국자수가 매우 높은데다가, (약 5,200만명중 1년 3,000만명 출국) 국가별 GDP규모로 봐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요즘은 저 여권파워, 헨리여권지수가 통하지 않고 있다. 이제는 거의 질려버릴 정도의 단어..
2020.02.25 -
[국적항공사별 주요 이슈] 각자도생이 필요한 시기
우선 한고비는 넘겼다. 정부에서 저비용항공사에 최대 3개월 공항시설 사용료 납부 유예 등 최대 3천억을 긴급 지원했다. 또한 신규 시장 확보를 위한 운수권 배분, 신규 노선 발굴 등도 적극 추진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217036800003?input=1195m 정부, '코로나19 직격탄' 저비용항공사에 최대 3천억원 지원 | 연합뉴스 정부, '코로나19 직격탄' 저비용항공사에 최대 3천억원 지원, 장하나기자, 산업뉴스 (송고시간 2020-02-17 09:41) www.yna.co.kr 그렇지만 말 그대로 급한 불을 끈 것이고, 큰 트렌드가 바뀐것은 아니다. 여기에 각자 항공사마다 산재해 있는 현안들이 많아 Rough 하게 하나씩 둘러보고자 한다. 첫번째로, ..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