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업이야기(항공+여행)(131)
-
외교부 코로나 안전국가와 '트래블 버블' 물밑 협상 - 대만 여행 가능해지나
안녕하세요 여행블로거 브라이언입니다. 간만에 희망적인 소식이 있어서 전해 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트래블 버블이란 용어가 있는데요 트래블 버블이란 ?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성공한 국가끼리 맺는 여행 협약으로 필수 격리조치 해제 등으로 코로나 사태 이전처럼 자유로운 여행 허용을 말합니다. 정부가 대만 베트남 태국 등 방역 우수국과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 방역 안전 국가 간 소규모 여행 허용)'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서로 간에 트래블 버블이 합의되면 입국 때 2주간 격리 조치를 일시 면제하는 '면역여권(immunity passports)' 도입이 이뤄진다고 합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는 여행업 상생을 위한 협의체(TF) 회의를 비공개로 열어 트래블 버블 도입을 논의..
2020.07.16 -
제주항공 결국 이스타항공 인수포기
그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었던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인수가 끝내 무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 경영진은 이스타항공을 인수하지 않기로 결의하고 다음주 중 인수 포기 관련 입장문을 낼 예정이라고 합니다. 한 항공분야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내부적으로 이스타항공 인수 포기를 확정했고, 이를 조만간 발표하기로 했다"며 "제주항공 지분 7.75%를 보유한 2대 주주 제주특별자치도가 정치적·법적·윤리적 논란이 일고 있는 이스타항공 인수를 결사 반대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이스타항공 인수를 그대로 진행할 경우 지자체 제주도가 주주 권익 훼손을 이유로 들어 제주항공 경영진을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방침인 것으로 알..
2020.07.02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 유효기간 1년 연장 결정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하늘길이 끊어진 가운데 양대 국적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올해 소멸될 예정이던 마일리지에 대해 1년간 사용기한을 연장해주는 결정을 내렸다. 대한항공은 2008년 6월까지 쌓은 마일리지에 대해 별도의 유효기간은 없이 무제한이었는데, 2008년 7월 1일부터 대한항공 또는 제휴항공사를 탑승한 마일리지는 탑승일을 기준으로 10년의 유효기간이 적용되어 10년이 되는 해 12월 31일(한국시각 기준)까지 사용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예) 2008.6.30. 탑승 마일리지 : 유효기간 없음 2008.7.1~2008.12.31 탑승 마일리지 : 2018.12.31(한국시각 기준)까지 사용 가능 2009.1.1~2009.12.31 탑승 마일리지 : 2019.12.31(한국시각 기준)..
2020.06.19 -
세계 항공업계 올해 누적적자 100조원 넘을 듯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세계 항공업계가 정상화되기까지 최소 2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발표됐다. 항공운송협회(IATA)는 현지시간 6월 9일 항공업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항공사들마다 위기를 견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IATA는 올 한해 세계 항공업계 매출이 전년보다 50% 떨어진 4190억달러(약 500조원)로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 21%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이에 따른 순손실 규모는 843억달러(약 100조6036억원)으로 추산했다. 알렉상드르 드 유니악 IATA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에서 "올해는 항공업계 역사상 최악의 한해가 될 것"이라며 " 매일 2억3000만달러(약 2744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적자의 원인은 매출이 비용보다 빨리 감소..
2020.06.13 -
HDC 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 인수 협상 원점으로.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또 다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바로 인수 주체인 HDC 현대산업개발이 코로나19로 더욱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자고 KDB산업은행 등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에 요구했기 때문인데요! 채권단 또한 이 요청을 받아 들이면서 "구체적인 요구 사항을 먼저 제시해달라"고 했습니다. 이로 인해 아시아나 항공 인수 협상은 새로운 국면으로 다시 접어들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채권단은 또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진정성 있는 논의를 위해 서면이 아닌 협상 테이블에 나오라고 다시 제안했습니다. HDC현산의 갑작스럽고 일방적인 재협상 요구에 일종의 불쾌감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HDC 현대산업개발이 최대한 유리하게 계약 조건을 바꾸려 한다는 분석도 있..
2020.06.12 -
국내항공사 연이은 유상증자 소식 (대한항공 유상증자, 제주항공 유상증자, 티웨이항공 유상증자) 및 에어부산 자본확충 방안 추진
코로나 19로 항공산업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적항공사의 맏형인 대한항공에 이어 저비용항공사인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도 자금조달을 위한 방법으로 유상증자를 선택하여 공시했다. 이로써 매각이 진행중인 아시아나항공과 그 자회사인 에어부산을 제외하면 진에어만 제외하고 모든 상장 항공사가 유상증자를 실시한 셈이다. 아래표로 우선 간단하게 보고 한 회사씩 자세히 보도록 하자. 1. 대한항공 유상증자 대한항공은 5월 13일 약 1조 1600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79,365,079주를 주당 14,600원에 발행하여 1조가 넘는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증자방식은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이며, 자금조달의 목적은 채무상환자금이다. 유상증자를 발표하던날 전후로 주가는 19,000원대를 유지하..
2020.06.09